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실무회계

재무비율 - 재무비율 분석

by 뽀노 2023. 8. 8.

재무비율 분석

 

재무비율 분석
  • 재무비율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성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포함된 숫자들을 활용하여 경영자, 투자자, 신용 기관, 재무 전문가 등이 기업의 재무 건강 상태를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재무비율분석은 기업의 재무성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재무비율의 종류
  • 안정성비율
  • 활동성비율
  • 수익성비율
  • 성장성비율

 

안정성비율
  • 재무비율분석에서 안정성 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강 상태와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비율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비율들은 기업이 부채를 갚을 능력, 자기자본의 안전성, 유동성 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며, 투자자나 신용 기관들에게 기업의 금융 안정성을 보여줄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유동비율 :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평가합니다. 높은 유동비율은 단기부채를 상환하는 데 안정적인 여유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2. 당좌비율 :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재고를 제외한 단기 지급능력을 평가합니다. 재고가 현금화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한 안정성 지표입니다.

 

3. 부채비율 : 총부채를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부채 상황을 평가합니다. 낮은 부채비율은 기업의 자금 조달 및 재무 건강 상태가 안정적임을 나타냅니다.

 

4.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자기자본 구성을 평가합니다. 높은 자기자본비율은 기업의 자금 조달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안정적인 자본 구조를 나타냅니다.

 

5. 이자보상배율 : 이자비용을 이자비용을 제외한 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이자 지불 능력을 평가합니다. 높은 이자보상배율은 이자 지불에 대한 여유가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활동성비율
  • 활동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의 운용 및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비율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비율들은 기업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영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활동성 비율은 기업의 유동성과 자산의 효율적인 활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높은 총자산회전율은 자산을 효율적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2. 재고회전율 : 매출액을 재고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재고의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재고회전율은 재고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3.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을 매출채권으로 나눈 비율로, 매출채권의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매출채권회전율은 매출채권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4. 매출채권회수기간 : 매출채권회전율의 역수로, 매출채권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평균 일수를 나타냅니다. 낮은 DSO는 매출채권의 효율적인 회수를 나타냅니다.

 

5. 매입채무회전율 : 매출채권을 매입채무로 나눈 비율로, 매입채무의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매입채무회전율은 매입채무를 효율적으로 지불하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수익성비율
  •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비율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율들은 기업의 수익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익의 원인과 효과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이익 수준과 수익성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활용됩니다.

1. ROA : 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자산 활용 능력과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높은 ROA는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2. ROE :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높은 ROE는 투자한 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3.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과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나타냅니다.

 

4.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영업활동에 따른 이익을 나타냅니다.

 

5. 순이익률 : 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모든 비용과 손익을 고려한 최종적인 이익을 나타냅니다.

 

6. EBITDA 마진: EBITDA(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를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영업활동과 관련된 이익과 현금 흐름을 나타냅니다.

 

 

성장성비율
  •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매출액, 이익 등이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비율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율들은 기업의 성장 추세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 전략과 성과를 이해하는 데 활용됩니다.

1. 매출액 성장률 : 현재 기간의 매출액을 이전 기간의 매출액으로 나누어 1을 빼고 100을 곱한 비율로, 기업의 매출액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2. 순이익 성장률 : 현재 기간의 순이익을 이전 기간의 순이익으로 나누어 1을 빼고 100을 곱한 비율로, 기업의 순이익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3. EPS 성장률 : 현재 기간의 주당순이익(EPS)을 이전 기간의 EPS로 나누어 1을 빼고 100을 곱한 비율로, 주당순이익의 성장을 나타냅니다.

 

4. 자산 성장률 : 현재 기간의 총자산을 이전 기간의 총자산으로 나누어 1을 빼고 100을 곱한 비율로, 기업의 자산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5. 자기자본 성장률 : 현재 기간의 자기자본을 이전 기간의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1을 빼고 100을 곱한 비율로, 기업의 자기자본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