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의 개념
회계란 경제적 활동을 기록하고 요약하여 이해하기 쉽게 보고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기업이나 조직의 재무 상태를 파악하고 경영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데에 사용되며, 금융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또한, 회계는 기업의 재무성과를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일관성과 투명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회계 기록은 세무 신고, 재무 분석, 예산 수립, 경영 의사 결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회계의 주요활동
- 기록 (Recording): 경제적 활동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합니다. 주로 분개장과 원장을 활용하여 거래 내용과 금액을 기록합니다.
- 분석 (Classifying): 기록된 정보를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수익과 지출을 분류하여 재무 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합니다.
- 요약 (Summarizing): 분류된 정보를 요약하여 재무제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를 작성합니다. 이러한 제표는 기업의 재정 상태를 파악하는데에 사용됩니다.
- 보고 (Reporting):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재무정보를 제공합니다. 이해관계자는 주주, 신용기관, 정부 기관 등이 포함됩니다.
회계의 기초용어
- 거래 : 거래는 기업이나 조직이 경제적인 활동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금융적인 사건 또는 사항을 기록하는 과정으로 회계 기록의 기초가 되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재무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 분개 : 분개란 회계 거래의 내용을 원장에 등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분개는 차변과 대변이 같은 대차평균의 원리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차변은 장부의 왼쪽으로 회사의 자산이 증가하거나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 기록되고 대변은 장부의 오른쪽으로 회사의 부채가 증가하거나 수익이 증가하는 경우 기록됩니다.
- 부기: 부기는 분개의 과정을 거쳐 차변과 대변을 정하여 장부에 기재하게 되는 행위입니다. 단식부기는 거래의 결과만을 기재하는 방법으로 '입금-출금=잔액' 으로 장부를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가정의 가계부가 이에 해당합니다. 복식부기는 거래의 발생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장부를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대차평균의 원리가 적용되는 구조가 복식부기의 구조입니다.
- 계정과 계정과목: 계정이란 거래의 성격을 쉽게 표시하고 기록, 계산하기 위해 항목별로 나누어놓은 기본적인 정보의 단위입니다. 분개를 할때에 거래의 성격을 간단명료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정해놓은 고유명칭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목별로 설정되는 계정 주체의 명칭을 계정과목으로 부릅니다.
- 계상: 장부상에서 기록한 모든 거래내용을 정리하고 합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대체하다: 어떤 금액을 특정한 하나의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이동시켜 옮겨 적는 것을 의미합니다.
'알아두면 좋은 실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표의 구성항목 (0) | 2023.07.29 |
---|---|
손익계산서 - 손익계산서 구성항목 (0) | 2023.07.27 |
재무제표 -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0) | 2023.07.27 |
회계의 기초 - 회계의 원칙과 기준 (0) | 2023.07.25 |
회계의 종류 - 재무회계, 세무회계, 관리회계 (0) | 2023.07.25 |